환경 : 윈도우 10 우선 git을 설치해서 bash 사용을 할 수 있게하던지 bash 를 쓸 수 있게 만들어야함 작성 기준은 git bash를 사용한다는 기준으로 설명 1. 윈도우탐색기를 열고 내 PC에서 로컬 디스크( C:) 클릭 폴더목록화면에서 마우스 우클릭 한 후 Git Bash Here 클릭 2. 이후로는 마우스를 사용하지 않고 다 키보드 입력 => bash 창 열린 후 cd ~ 입력 후 엔터 3. ls -al 입력 후 엔터 => 폴더 목록에서 .ssh 가 있는지 확인 id_rsa, id_rsa.pub, known_hosts 등 파일이 확인되면 키생성 완료 6번까지 완료하면 개인키 생성 완료 생성한 키 파일을 비밀번호 없이 연결할 쪽으로 전송 .ssh 폴더에서 아래 명령어 입력 scp -P포트번..
기존에 한 서버에 git 저장소 운영 및 호스팅서버를 같이 돌리고 있었음.. 그러다 서버를 늘려야하는 상황이 생겨 서버쪽 작업을 진행함.. 사전조건 git 저장소 서버와 호스팅서버간 git을 이용할 계정의 ssh 접속이 비번 없이 가능해야함.. ssh 접속 후 sh파일 실행도 가능해야함.. 위 조건은 서버에서 각 계정별로 키를 생성하고 공유하여 접속 시 비번없이 처리되게 하면 됨.. 배포할 서버(git 저장소 서버) 에서 작업 #사용할 계정으로 전환 su git #키 생성 -> 엔터 -> 엔터 -> 엔터 ssh-keygen -t rsa #키 폴더로 이동 cd ~/.ssh #키 확인 cat id_rsa.pub 해당 키 복사하여 호스팅 서버쪽 ssh 연결할 계정에서 키 추가 호스팅 서버에서 작업 #git 서..
하려고 했던 작업 리눅스서버에 git server(gitlab, gitgub와 같은)를 세팅하고 클라이언트에서 작업해서 리눅스서버에 push하면 같은 서버상의 호스팅 파일이 변경되도록 처리 서버세팅하면서 우여곡절이 많았지만 잘 사용중 우선 세팅은 root 계정으로 진행 서버쪽 1. git 설치 yum install git 2.설치확인 git --version 3.저장소 세팅 cd /home mkdir git cd git git init --bare --shared ls -al git관련 폴더들이 생성되었으면 다음으로 4.폴더 권한 설정 --호스팅 폴더 ftp와 같이 사용하면 git 설정을 ftp계정으로 하는게 나중에 hooks 세팅 시 문제가 안생김 adduser git --계정생성 passwd git ..
깃깃깃.. 항상 작업하면서 변경내역을 저장해야겠다고 생각만 하다가 하루 투자해서 세팅을 해봄 하려고했던작업.. 로컬상에 폴더를 작업공간(레포지토리)으로 세팅하고 거기에 소스를 복사해서 넣은 후 세팅한 gitlab 프로젝트로 푸시 gitlab을 선택한 이유는 별거없고.. 그냥 용량무제한에 비공개 무료라서.. 우선 git 설치는 git 사이트에서 최신버전으로 설치.. 현재 설치된버전은 git version 2.17.1.windows.2 설치되고나면 계정 세팅 $ git config --global user.name "John Doe"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johndoe@example.com 사용할 이름과 이메일을 세팅함 --global옵션은 보면알겠지만 git 저장소 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