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환경 : 윈도우 10
우선 git을 설치해서 bash 사용을 할 수 있게하던지 bash 를 쓸 수 있게 만들어야함
작성 기준은 git bash를 사용한다는 기준으로 설명
1. 윈도우탐색기를 열고 내 PC에서 로컬 디스크( C:) 클릭 폴더목록화면에서 마우스 우클릭 한 후 Git Bash Here 클릭
2. 이후로는 마우스를 사용하지 않고 다 키보드 입력 => bash 창 열린 후 cd ~ 입력 후 엔터
3. ls -al 입력 후 엔터 => 폴더 목록에서 .ssh 가 있는지 확인 <= 폴더명은 퍼런색으로 보임
4. ssh 폴더가 있으면 cd .ssh로 이동 없으면 mkdir .ssh로 생성 후 이동
5. ssh-keygen -t rsa 입력 후 엔터 엔터 엔터 엔터 엔터 엔....
6. ls -al 입력 후 엔터 => id_rsa, id_rsa.pub, known_hosts 등 파일이 확인되면 키생성 완료
6번까지 완료하면 개인키 생성 완료
생성한 키 파일을 비밀번호 없이 연결할 쪽으로 전송
.ssh 폴더에서 아래 명령어 입력
scp -P포트번호 id_rsa.pub 계정명@호스트정보:폴더경로
연결이 정상적으로 된거면 비밀번호 입력창이 뜸
계정명 <= 의 비밀번호 입력하면 일단 서버쪽으로 개인키파일 전송 완료
이제 키파일을 보낸 서버쪽에서 개인키를 접속할 계정의 authorized_keys 에 입력해주면 끝~
'IDE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7] git 웹서버 배포 (0) | 2021.03.04 |
---|---|
[Git]Git 서버 세팅 CentOS7 (0) | 2020.05.08 |
Git 첫 시작 세팅 및 GitLab에 Push (0) | 2018.07.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