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번 서버 세팅때마다 명령어나 기타 작업내용 블로그 검색해가면서 세팅했었는데 검색은 그대로 해서 하더라도 설정하는 부분들 정리라도 해두려고 작성함 1. 네트워크 설정 확인 - 센토스와 우분투 모두 설치 시 네트워크 설정을 입력하도록 되어있으나 기본 라우팅 설정문제로 네트워크가 정상적으로 외부 연결이 안되거나 특정 부분에서 막히는 경우가 생김 - 꼭 핑테스트와 APT 또는 YUM 레포지토리 연결이 성장 진행되는지 확인이 필요 - 연결이 안되는경우 대부분 기본게이트웨이 설정 및 라우팅 설정이 잘못되어 있거나 내부 네트워크가 기본으로 설정되어있어서 발생하는 문제 - 설치 후 네트워크 확인 시 방화벽이 문제가 되는경우는 잘 없으나 방화벽 설정 확인도 필요 2. 방화벽 설정 확인 - 서버 기본 방화벽 firewa..
오랜만에 서버 세팅 기존에 서버들은 몯 CentOS7이나 6.10을 사용했으나 지원이 끊기는 관계로 우분투로 넘어가게 되었음 초기 설치는 센토스보다 우분투가 쉬웠음 역시나 쉽게 진행됨.. 파티션 설정도 LVM으로 처리했으나 여유공간을 너무 잡아두길래 swap 4G 추가하고 남은 공간 계산해서 lv 다 포함 시켜서 생성함 네트워크설정도 내부 외부 사용하다보니 둘 다 설정해서 진행함 문제는 내부 외부 모두 설정하고 라우팅 설정 따로 하지 않으면 apt 저장소에 접속이 안됨 이게 왜 그런건지 확인하느라고 dns 바꿔보고 했는데 최종 문제는 기본 라우팅을 뭘로 사용할지 설정을 하지 않아서 생기는 문제 내부로 사용할 네트워크는 routes: - to: 192.168.0.0/24 via: 192.168.0.1 위 ..
작업환경은 CentOS6.9 Apache 2.2.22 아파치2.1 버전 이후에는 mod_ssl이 포함되어있어서 가상호스팅 설정이 가능하다고 한다.. 근데 실제 세팅해보니 이게 되는건지 안되는건지 애먹음.. 아파치 폴더경로는 /usr/local/apache 이고 설정파일은 /usr/local/apache/conf/extra 폴더에 httpd-ssl.conf 파일에다가 세팅함 http 가상호스트 설정해서 https로 넘기는건 별도 작업이 필요 NameVirtualHost *:443 # General setup for the virtual host DocumentRoot "폴더경로" ServerName 사용도메인 ServerAlias 본도메인 SSLEngine on SSLCipherSuite ALL:!AD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