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ot 계정으로 진행 #레포지토리 추가 vi /etc/yum.repos.d/nginx.repo #파일내용 [nginx-stable] name=nginx stable repo baseurl=http://nginx.org/packages/centos/$releasever/$basearch/ gpgcheck=1 enabled=1 gpgkey=https://nginx.org/keys/nginx_signing.key #레포지토리 활성화 yum-config-manager --enable nginx-stable #yum-config-manager 명령어 오류 날 시 yum-utils 설치 yum install yum-utils #설치 진행 yum install nginx #버전확인 nginx -v
보유중인 서버들이 대부분 다 구형이고 그나마 좀 쓸만하다 싶은 서버가 dl320 g6 정도되는 급이다. 하위모델들은 드라이버 지원이 잘 안되는경우가 많아서 우분투로 설치를 진행했었는데.. 디스크 확인이 되길래 레이드 잡고 진행해보려고 하다 시간만 까먹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centOS7을설치할꺼고 레이드카드가 있는게 아니고 보드에 통합된 레이드설정이라면 그냥 os에서 지원하는 소프트 레이드 설정하는게 속편하다.. 우선 공식적으로 드라이버를 지원하는게 6버전까지라고 하더라 찾아보니.. 각종 시도를 해봤었다 7에서 레이드카드 드라이버 로드 시켜서 진행 드라이브 안보임.. 6.10 버전에서 드라이버 로드시켜서 진행하니 드라이브 안보임.. 드라이버 로드 방법은 우선 hpe 사이트에서 해당 드라이브 파일 다운..
-- db접속 : root 계정 mysql -uroot -p -- 데이터 베이스 확인 show databases; -- 데이터 베이스 생성 create database DB명; -- 데이터 베이스 확인 show databases; -- mysql database 를 사용 use mysql; -- 사용자 확인 select * password from user; -- 사용자 계정 생성 'id'@'localhost' 이면 로컬에서만 접속 가능 create user '아이디'@'%' identified by '비밀번호'; -- 사용자 권한 주기 grant all privileges on db명.* to '아이디'@'%'; --권한 지정은 all 대신 권항목록 grant select, insert on db명.*..
Curl을 웹개발하면서 테스트를 진행하는데 리턴값이 나오질 않았다. 이런경우는 대게 받는쪽 서버에서 방화벽에서 막아버리거나 보내는쪽에서 문제가 생기거나..(당연한 얘기네..) 무튼 내경우는 뭔가 이게 좀 이상했다 일반적으로 통신이 막히면 막히는 정보가 나와야하는데 뜬금없이 상관도 없는 아이피정보가 나오고 있었다.(물론 상관 없는 아이피도 우리 서버군 아이피긴 했음) 문제가 뭔지 하나하나 찾기 시작했고 방화벽 + DNS 설정 + 웹서버 설정 등 하나하나 뒤지다가 황당한 부분을 발견했다.. 이서버를 세팅할때 무슨 이유에서인지 /etc/hosts에다가 강제 경로를 잡아놨고 접속하려던 사이트가 그 경로에 포함되어있었다. 분명 내가 한짓일텐데... 미치지 않고서야 서버에다가 호스트변조를 해두다니......... ..
신규 서버로 이전 후 파일업로드 진행하는 대용량 파일이 안올라간다. 413에러가 발생하는데 이 에러의 주요 원인이 요청 엔티티가 너무 크기 때문에 페이지를 표시되지 않습니다. 라고 에러 메세지는 나온다. 결론은 서버상 세팅에 제한이 있어서 표시할수 없다는것인데.. 일반적인 구글링에서는 uploadReadAheadSize 사이즈와 허용되는 최대 컨텐츠 길이를 늘리라고 되어있다.. 내경우에는 uploadReadAheadSize는 관련이 없었고 최대 콘텐츠 길이가 문제였다 IIS > 설정 홈(IIS 시작페이지 바로 밑 서버 선택) > 요청 필터링 > 기능 설정 편집 > 허용되는 최대 곤텐츠 길이 늘림.. 최대값 : 4294967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