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리눅스 서버에서 시놀로지 나스로 파일을 백업하기 위한 설정 작업
리눅스서버 CentOS7
rsync가 설치 안되어있으면 yum install rsync
시놀로지 DSM 버전 7.1-42661 Update2
설정변경
제어판 > 사용자 및 그룹 > 고급 > 사용자 홈 서비스 활성화
: 구버전에는 기본 활성화였지만 최근껀 설정해줘야함
살리는 이유는 시놀로지 ssh 접속 시 비번 없이 연결하려면 사용자 계정에 개인키 등록해야하기 때문에..
제어판 > 터미널 및 SNMP > 터미널 > ssh 서비스 활성화
: ssh 접속해서 계정설정 및 통신해야함
별도 방화벽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기본 22포트 대신 다른포트로 변경하여 설정해야 보안에 그나마 문제가 덜함
내부 네트워크에서 사용할꺼라 별도로 설정 변경 안함
제어판 > 파일 서비스 > rsnyc > rsync 서비스 활성화
: ssh 포트 변경했으면 같이 변경
위 설정 끝났으면 시놀로지 나스에 ssh로 접속 후 root 계정 권한 얻어야 설정 변경 가능
우선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 후
사용자 폴더로 이동 cd ~/
ssh 폴더 생성 mkdir .ssh
위 까지 진행하고 리눅스 서버에서 공개키 생성
계정은 root 에서 진행 함
ssh-keygen -t rsa
chmod 700 ~/.ssh && chmod 600 ~/.ssh/*
공개키를 시놀로지로 전송
ssh-copy-id -i id_rsa.pub 시놀로지사용자계정@시놀로지 아이피
전송이 완료되면 다시 시놀로지 나스에서 root 계정으로 접속
사용자 계정 로그인 후
sudo -i 엔터
사용자 계정 비번 입력 후 엔터
하면 root 계정으로 로그인 됨
사용자 계정으로 이동
cd /volume1/homes/사용자계정/
사용자 계정 권한 변경
chmod 700 .ssh && chmod 600 .ssh/*
위 까지 작업이 완료되었으면 리눅스서버에서 시놀로지나스로 ssh 비번 없이 접속이 가능한지 확인
ssh 사용자계정@시놀로지 아이피
접속 시 비번 안물어보고 연결이 되면 rsync 로 넘어가면 되고 비밀번호를 물어보면 어딘가가 잘못된거니 다른 블로그들 참조하시어 진행해보셔야합니다.
리눅스서버에서 시놀로지로 백업하기 NetBackup은 rsync 활성화시키면 자동 생성되며 rsync 실행 시 해당 폴더로 연결됨
리눅스서버에서 -e 'ssh -p 22' 속성 없이 진행 시 비밀번호 물어보니 꼭 -e 'ssh' 속성 넣어서 전송해야함
rsync -av -e 'ssh' /리눅스서버폴더/ 시놀로지사용자계정@시놀로지아이피::NetBackup/시놀로지폴더 경로/
위 까지 성공했으면 다음은 backup.sh 파일 생성 후 crontab 에 추가해서 스케쥴 잡아주면 됨
2022.07.06 - [serverSide/Linux] - [CentOS] crontab rsync 스케줄 설정
'serverSide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놀로지 나스(synology nas) transmission auto delete(자동 삭제) (2) | 2022.07.11 |
---|---|
[CentOS] crontab rsync 스케줄 설정 (0) | 2022.07.06 |
CentOS HP Smart Array Raid status 레이드 상태 확인 (0) | 2022.05.12 |
[CentOS7] SYSTEMCTL 명령어 (0) | 2021.10.26 |
certbot LetsEncrypt wildcard 인증서 자동 갱신 (0) | 2021.09.15 |